728x90
안녕하세요 I MY ME 예요
수출입 업무를 하다보면
해상 운임이며, 에어 운임 비용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는데요.
특히, 에어로 화물을 띄운다는건 그만큼 긴급하고 중요한 화물이란 의미겠죠
에어로 화물을 띄울 경우, vessel보다 비용이 배는 비싸기 때문에
에어 띄우기전 운임을 체크하는 건 필수겠죠!!!
그런데, 분명 화물의 실무게는 500kgs 이였는데,
왜 운임 인보이스에는 750kgs 로 청구되는걸까요???
오늘은 그것을 알아보도록 하죠~!
항공 운임의 무게는
실제무게와 CBM무게를 비교하여
더 무거운 쪽 무게로 운임을 청구하게 되는데요.
이때 CBM 무게의 계산은
CBM 을 기준으로 167kgs을 곱하기 한 무게가 CBM 무게입니다.
뭔말인지 하나도 모르시겠다구용?!!!
자 아래의 예시를 봐주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어용
예를 들어 박스 74개를 AIR로 수입한다고 하죠.
화물 74박스의 무게는 716kgs 예요.
여기서 930kgs 가 에어 비용 청구되는 무게인데요.
930kgs 계산은 이렇게 나오게 되는거죠.
CBM {( 0.64m x 0.38m x 0.31m) X 74박스} X 167kgs = 931.69......
(포워더에서 뒷자리를 살짝쿵 빼주었네용 ㅎㅎㅎㅎ)
실제 무게 716kgs 와 CBM 무게 930kg 를 중
무거운 쪽의 무게로 에어 비용 청구가 들어오는 거겠죠.
거래하는 포워더에게 kg당 에어 견적을 $2.10로 받았다면
에어 운임 비용은
930kgs x $2.10 x 환율@1,189 = 2,322,117원
을 청구 받는 거죠.
참 쉽죠잉~~??!!!!!!!!!
'배워서 남주기 > 무역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 초보자를 위한 HS CODE 완벽 정리 – 제품 분류하는 법 (0) | 2025.02.04 |
---|---|
무역계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 (0) | 2020.11.11 |
[구글 캘린더 활용] 해외 바이어와 생산처 휴일 체크 필수!!! (0) | 2020.09.01 |
관세사 - 그들이 궁금하다! (0) | 2020.08.27 |
[해외직구] 관세 & 관부가세 알아보기 (0) | 202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