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워서 남주기/무역실무24 무역 초보자를 위한 HS CODE 완벽 정리 – 제품 분류하는 법 1. HS CODE란 무엇인가?HS CODE(Harmonized System Code)는 세계관세기구(WCO, World Customs Organization)가 개발한 국제 표준 품목 분류 코드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무역용 제품 분류 체계다. 수출입 시 통관 절차에서 반드시 사용되며, 각국의 관세율 적용, 무역 통계, 원산지 규정 등에 영향을 미친다.HS CODE는 6자리의 기본 코드 체계를 가지며, 일부 국가는 이를 기반으로 8~10자리의 세부 코드를 추가하여 자국의 무역정책에 맞게 운영한다. 따라서, 무역 초보자라면 HS CODE의 개념과 적용 방식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2. HS CODE의 구조와 구성 원리HS CODE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 2025. 2. 4. 무역계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 안녕하세요무역업을 하다보면 거래협상이 체결되면 정식 거래제의를 하며수출입본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데요 계약방법은 대략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어요1) 개별 계약방법과 2) 포괄계약 방법 오늘은 이 두가지 계약방법의 차이를 살짝 집고 넘어가 보죠 *** 개별계약방법(Case by case contract) *** 매거래건별로 먼저 간단한 오퍼나 오더를 확정한 후 수출입본계약을 확정하는 방법이에요통상 거래 상대방과 최초 거래시나 초기거래시에 활용하는데요 개별계약방식에 의한 수출입계약서는 표면과 이면 양면으로 구성됩니다. 무역계약서의 표면약정에 포함되는 사항은 거래건별로 확정하여야 하는 개별약정사항으로서 당해 거래시의 물품의 품질수준, 수량 및 가격 등 거래상품에 관한 사항과 선적일자, 결제방법 및 보험조건 .. 2020. 11. 11. AIR 운임 비용 - 실제무게와 운임 청구무게가 왜 다르지? 안녕하세요 I MY ME 예요 수출입 업무를 하다보면 해상 운임이며, 에어 운임 비용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는데요. 특히, 에어로 화물을 띄운다는건 그만큼 긴급하고 중요한 화물이란 의미겠죠 에어로 화물을 띄울 경우, vessel보다 비용이 배는 비싸기 때문에 에어 띄우기전 운임을 체크하는 건 필수겠죠!!! 그런데, 분명 화물의 실무게는 500kgs 이였는데, 왜 운임 인보이스에는 750kgs 로 청구되는걸까요??? 오늘은 그것을 알아보도록 하죠~! 항공 운임의 무게는 실제무게와 CBM무게를 비교하여 더 무거운 쪽 무게로 운임을 청구하게 되는데요. 이때 CBM 무게의 계산은 CBM 을 기준으로 167kgs을 곱하기 한 무게가 CBM 무게입니다. 뭔말인지 하나도 모르시겠다구용?!!! 자 아래의 예시를 봐주시.. 2020. 9. 7. [구글 캘린더 활용] 해외 바이어와 생산처 휴일 체크 필수!!! 안녕하세요 I MY ME 입니다 무역 실무를 하는 자로써 여러 국가의 바이어들이 언제 쉬는지 알아야 우리도 따라서 편~하게 업무를 볼 수 있다는 거 아시죠? 바이어 휴일이나 해외 생산처에 급한 용무가 생겼는데 휴일로 인한 연락두절.... 우리는 멘붕을 경험하게 되겠죠 ㅠ 저 같은 경우 바이어들이 사는 미국과 회사 공장이 위치한 베트남의 공휴일이나 대표적인 기념일들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구글 캘린더 사용하고 있는데요 미국과 우리나라의 공휴일의 차이가 있으니 그런 날들을 노려서 그림의 떡, '연차'를 고려해 봐도 되겠죵 ㅎㅎㅎㅎㅎ ① 구글 캘린더 접속해주세요 www.google.com/calendar Google 캘린더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캘린더로 이동하려면 로그인하세요... 2020. 9. 1. 관세사 - 그들이 궁금하다! 반가워요, 여러분~! 무역관련 포스팅을 지속적으로 하다보니무역전문가 「관세사」 에 대해서 잠시 파헤쳐 보고 싶어서 포스팅 해봐용 관세사, 그들은 누구인가? 관세사회에 개업신고를 하고 활동 중인 관세사는현재까지도 2천여명 정도밖에 되질 않는다고 해요그래서 꽤나 높은 연봉의 직업군에 속하지요 그도 그럴것이,시험을 통해 배출되며 1년에 90여명밖에는 배출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국가에서 부과하는 세금은 국세와 관세로 나누어지는데요,세무사가 국세를 다룬다면, 관세사는 관세를 다루는 직업이죠 그렇다면 관세는 무엇인고??관세의 정의는'수출/수입되거나 세관을 통과하는 화물에 부과되는 세금' 입니다.외국에서 제조하여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물건에 붙여지는 세금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빠르겠네용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관세.. 2020. 8. 27. [해외직구] 관세 & 관부가세 알아보기 최근 소비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해외직구로 구입을 하는 소비형태가 늘고 있는데 이때 적용받는 해외직구관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 보도록 할께요 먼저, 관·부가세의 설명에 앞서 목록통관에 대해서 아셔야 합니당! 1. 목록통관이란? 구입하는 물건이 자가용도(개인용도)로 사용을 하는 조건이라면 물품가격 미화 150불 이하에는 비과세 (한미 FTA협정에 따라 미국에서 구입한 물건은 200불까지 가능) 이때 중요한 것은 배송비를 포함한 금액까지 150불. 배송비까지 150불을 초과하는 경우 목록통관 기준금액이 초과되어 관세가 부가되죠 2. 목록통관 배제대상 품목 다만 아래 품목에 대해서 목록통관이 배제되요. ① 의약품 ② 한약재 ③ 야생동물 관련 제품 ④ 농림축수산물 등 검역대상물품 ⑤ 건강기능식품 ⑥ 지식재산권.. 2020. 8. 2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