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CIF와 FOB 조건에 대해서 잘 이해하셨나요?
오늘은 DDP 조건을 알아보도록 하여요. 레고레고~!
DDP조건이란??
수출자는 국내 운송비용, 도착지 운송비용, 도착지 수입 관/부가세 등
수출 진행시 발생되는 모~~든 비용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 의미는 수입자가 물건을 수령하기 전까지
비용 및 위험 부담의 의무를 수출자가 모두 부담하는 것입니다.
수출자의 부담이 가장 큰 조건이지요
**** DDP 진행시 주의할 점?? ****
따라서 화물의 invoice value(물품가액)가 큰 경우라면
운송비보다 수입시 발생되는 관세&부가세로 훨씬 큰 금액을 지불하셔야 될수도 있으니
반드시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수입국에서 높은 관세,부가세 납부가 염려되는 경우는
관세&부가세만 빠진 DAP 조건을 사용하게 됩니다.
덧, 수입자 입장이라면
부가세에 대한 매입공제 여부를 세무서를 통해 확인해보시길 바래요
DDP 조건은 주로 어떤 거래에 사용되나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DDP 조건은 수출자가 모든 비용을 부담해요.
따라서 수출자가 가맹고객사에게 샘플로 제품을 제공하는 경우 종종 DDP 조건이 사용됩니다.
샘플이기 때문에 소량의 제품이 수출되기 떄문에 DDP 조건이 사용되는거죠
또다른 경우는 이미 수출한 제품에 하자가 생겨 수출자가 대체품을 보내줘야 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제품의 하자가 원인이 수출자에게 있기 때문에
대체품 발송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수출자가 부담하게 되는거죠
실제 실무에서는
샘플 건보다는 대체품 발송에 DDP 조건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배워서 남주기 > 무역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영어 공부는 이제 그만! - 파파고 PC버전 사용 추천 (0) | 2020.08.11 |
---|---|
선적 INVOICE 양식 및 작성방법 (0) | 2020.08.10 |
<해외 직구시 > 개인통관고유번호 발급 방법 (0) | 2020.08.06 |
(해상운송) FOB 기준 수입 비용 체크 !!! (0) | 2020.08.05 |
CIF와 FOB 거래조건 비교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