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워서 남주기/무역실무

(해상운송) FOB 기준 수입 비용 체크 !!!

by I.MY.ME 2020. 8. 5.
728x90

안녕하세요

비가 계속와서 그런지 팔다리가 아프네욤.

 

 

 

 

자, 오늘은 해상 운송으로 수입시 비용 체크 해볼께요

기준은

베트남->인천 수입시 (FOB조건)

2020년 7월말 받은 삼***** 포워더 견적표

를 예로 들어 설명 드립니다

 

 

 

 

 

보시는 표는 "FOB 거래조건"으로 진행 될 경우

수입 운임표입니다.

 

잠깐! 다시한번 FOB(Free On Board) 란,

수출자는 지정된 선적항까지 화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후, 수입자가 선적항에서부터 화물 운송 책임을 지게되어

목적항까지의 운임 또한 부담을 하는 조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상운송(Ocean Freight) 비용도 수입자인 내가

그리고, 인천항에서의 모든 부수비용을 내가 내는 거랍니다.

 

 

 

부수비용에 대해서 확인해 볼까요?

 

THC(Terminal Handling Charge) / 터미널 화물처리비

콘테이너가 항구창고에 도착해서 배에 입장하기까지 화물의 이동에 따르는 비용

 

WFG or W/F(Wharfage) / 화물 입항료

해양수산부가 부두를 거쳐가는 모든 화물에 징수는 요금

 

Document Fee / 서류 발급비

수입시는 화물인도지시서(D/O)을 발급해줄때 징수하는 비용

 

Con Cleaning or CCF(Container Cleaning Fee) / 컨테이너 청소료

컨테이너 청소를 요구하게 되는 경우 부과하는 비용

 

HDC(Handling Charge) / 취급수수료

포워더가 BL전송, 화물도착통지, 해외 교신 등의 서비스에 발생하는 행정비용

 

CIC(Container Imbalance Charge) / 컨테이너 수급조정 할증료

선사에서 빈콘테이너 임대나 포지션을 조정하는데 드는 비용


EBS(Emergency Bunkers Surcharge) / 긴급유류할증료

유가변동시 선박운행의 원료비 Risk를 줄이기 위해 선사가 부과하는 비용

 


그럼, 여기서 우리는 20FT 콘테이너 한 대를 수입할 시

수입자인 "내"가 지불할 비용 계산한번 뚜들겨 보아요

 

 

 

LCL 5cbm 수입도 뚜들겨 볼까용???

 

 

 

오늘은 CIF 조건의 수입시 비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어요.

예산 자금을 책정하시는 분이시라면,

위에 설명드린 해상운송비 외에도

관세, 부가세, 운송료(trucking), 통관 수수료 등도

꼭 체크해서 예산 준비하시길 바래용

 

그럼 오늘도 빠얌~!

 

 

열심히 공부하는 당신에게 DEEP K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