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회사에 몸담은지 어~~언 15년
아는 한도에서
무역실무를 너~~얼리 전파하리라
오늘은 화물 운송의 기본인
FCL과 LCL에 대해서 정리해 볼께요
**** LCL ****
LCL은 한개의 컨테이너에 여러명의 사업자(화주)가 화물을 모아서 운송하는 방식이에요
이때, 여러 화물을 모아서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작업을 해야 합니다.
여기서 CFS 란 '화물을 콘테이너에 넣기 위해 화물을 수집, 분배하는 장소' 랍니다.
여러 사업자의 화물을 작업하기 때문에 지정된 CFS에서 작업하는거죠.
**** FCL ****
FCL은 한개의 컨테이너를 한명의 사업자(화주)가 단독으로 사용하는 걸 의미해요
이때는 원하는 장소로 콘테이너를 받아 화물을 넣을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언제는 LCL로, 언제는 FCL로 진행해야 하는 걸까요???
그에 대한 해답을 알려면 CBM 을 아셔야 해용
화물의 가로, 세로,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결과치로
1CBM 이라고 하면 가로x세로x높이가 1meter인 정육면체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10~15cbm 정도가 넘어가면
LCL보다는 FCL 해상운송 비용이 더 저렴하답니다.
그럼 예시를 들어볼께요
예시A)
가로 60cm, 세로40cm, 높이 38cm 인 상자 10개의 부피는 얼마???
▶ ( 한박스의 부피 0.60m x 0.40m x 0.38m ) X 10박스 = 대략 3.8 CBM
예시B)
지름이 50cm 이고 길이가 180cm인 원단 50개의 부피는 얼마???
▶ ( 원단 1롤의 부피 0.50m x 0.50m x 1.80m ) X 50롤 = 대략 22 CBM
예시A의 경우는 LCL,
예시B는 FCL로 진행하셔야 되겠네요
오늘은 간단하게
FCL과 LCL에 대한 개념과
CBM 계산법을 정리해 보았어요.
그럼, 다음시간까지 빠빠이~
'배워서 남주기 > 무역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F와 FOB 거래조건 비교 (0) | 2020.08.04 |
---|---|
(해상운송) FCL과 LCL 수출 운임 계산해보자! (0) | 2020.07.30 |
(해상운송) FCL과 LCL 수출 비용 (0) | 2020.07.30 |
포워딩 ( forwarding ) 이 뭔가요?? - 업체선정 및 유의점 (0) | 2020.07.29 |
(해상운송) 일반 컨테이너 크기와 필수 체크사항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