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리는거 같네요.
전 아마존 셀러임과 동시에 무역회사의 중간급 노예(?)이기도 해서
연말연시 업무량이 폭발~!
오늘은 저 같은 아마존 셀러로
실제 판매가 이루어 진 후, 대금 정산을 어떤 원리로 진행되는지
그리고, 한국에서 매출 신고는 어떻게 하는지 등을 간단하게 말씀드려 볼께용
정산 금액이 왜 예상보다 적어지는 거지??? 내돈~~!!????
먼저, 아마존의 판매 대금 정산은 2주(14일)에 한 번 단위로 이뤄져요.
이때, 정산되는 금액이 우리의 예상보다 적게 나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죠.
왜그런지 이유를 들자면,
첫째, FBA 수수료 등 제반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둘째, 아마존에서 판매 대금을 일시불로 지급하지 않고 일부를 유보했을 경우죵.
판매 대금 유보의 경우,
해당 셀러가 아직 신뢰도가 쌓이지 않은 신규 셀러이거나,
해당 셀러의 판매제품이 잦은 클레임, 반품, 환불 등이 일어날 경우 발생해용
그러므로, 입금된 금액이 본인의 예상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고 해서 당황하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문제가 없다면 언제든 다음 대금 정산에 크게 퐝~들어옵죠 ㅎ
내돈의 1원도 나가는건 아숩죵.
그래서 정확한 정산내역을 파악하는건 필수!!!!
아마존 Seller Central 페이지 -> Payments -> Reports -> All Statements
로 접속하여 2주 단위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보면 되요.
그 엑셀 파일을 자세히 살펴보시면, 주문 단위 별로, 항목별로 매우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습죠
부가세 중에 영세율이 뭐야??
처음 사업하면 영세율이 뭔지 개념이 안서실텐데용.
우선, 영세율은 문자 그대로 0의 세율을 적용 받는 것을 의미하며,
수출을 장려하는 대한민국에서 영세율 적용대상은 다음과 같죠....
(부가가치세법 21조~24조) - 1) 재화의 수출, 2) 용역의 국외공급 3) 외국항행용역의 공급, 4) 기타 외화 획득 거래, 5) 조세특례제한법 상 영세율 적용대상 거래가 위에 해당한다고 하네요..
이런건 용어가 어려우니 PASS!
그렇다면, 우리에게 중요한 질문!!!!
“과연 아마존 매출은 영세율 매출에 속하는 것일까?”
답은 “YES” 입니다.
한마디로, 우리는 세율이 '0'이다라고 보면 되용.
왜냐하면, ‘국외에서 사용·소비될 재화 또는 용역’ 또는 ‘국내에서 사용·소비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이라 하더라도
외화를 획득하는 경우’에 해당되기 때문에 영의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간혹, 영세율과 명세를 혼동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면세는 애초에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이 아니라면,
영세율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지만 세율이 0%인 점에서 다르다는 차이가 있죵
따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면세나 영세율 모두 부가가치세가 없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지만,
판매자(사업자)의 입장에서 영세율은 ‘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과세사업자로서의 부담이 줄어든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마존 해외매출을 제대로 신고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마존에서 매출 내역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 해요
Reports > Payments > Date Range Reports > Summary PDF
이 파일을 월별로 다운로드 받으신 후에 income 수치를 해외매출로 잡으면 됩니다.
간혹, 세무대리인을 통해 해외매출을 신고할 때,
‘환율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서울외국환중개소에 월별 평균 환율을 참고하셔서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요.
추가적으로, 아마존 매출을 신고할 때,
수출실적명세서를 작성하시게 되는데,
핵심은 아마존 해외 매출을 '기타 영세율 적용' 칸에 기입하시면 된답니당
수출실적명세서를 기반으로 영세율 매출명세서를 작성하게 되고,
영세율 매출명세서를 기반으로 기본 부가세 신고서의 '영세율' 항목 중 '기타' 부분을 증빙하게 되기 때문이지요.
꿀팁) 소득세 폭탄을 맞지 않는 방법!
세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내야 하는 것이지만,
굳이 낼 필요가 없는 세금까지 낸다면, 그것보다 아까운 것도 없겠죠.
조금이라도 절세를 하기 위해서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최대한 공제 받을 수 있는 항목을 찾아서,
꼼꼼하게 세무 처리를 할 필요가 있어요
아마존 매출 신고를 위해서 매출 보고서를 다운로드 할때,
Summary PDF에서 expense 수치를 매출에서 공제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아무래도 파일이 영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항목만 간단히 확인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아마존 매출 그 자체에 대해서 소득세율이 적용되어
소득세 폭탄을 맞을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절세를 위해서는 꼼꼼함이 정말로 필수입니다.
요즘 너튜브를 보다보면 아마존에서 경쟁력 있는 셀러 유치를 위해서
여러가지 시도들을 하고 있는거 같아요
이럴 때 셀러인 저희들이 필요한것은 무엇??!!!!
바로 최신 + 정보 획득 이 중요합니다!
초보 셀러들을 서포터 해주는
서포터즈도 운영되고 있다고 하니,
어려움 겪으면 포기하려 하지 말고
일단 아마존에 문의 넣고 서포터들을 알차게 굴려주도록 하세용
그들은 여러분의 노예~??!!!!
ㅎㅎㅎㅎ
그럼 오늘도 원하고 바라는 인생들 살아보자구요~!
'배워서 남주기 > 아마존 & 라자다 셀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을 캐나다,멕시코에서도 판다구??? (0) | 2021.08.04 |
---|---|
FBA Toolkit - 데이터를 읽어보자!! (0) | 2020.11.18 |
아마존 셀러 초보라면 꼭 알아야 하는 세무 (0) | 2020.10.21 |
아마존 셀러 준비하며 궁금한 부분을 아마존에 직접 물어보세요~! 한국어로 편하게~!!! (0) | 2020.10.15 |
[아마존셀러] 영문 용어 정리해보자~! (0) | 202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