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워서 남주기/아마존 & 라자다 셀러

[아마존셀러] 영문 용어 정리해보자~!

by I.MY.ME 2020. 10. 6.
728x90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아마존 셀러 관련 포스팅을 해볼까 해요

 

셀러로 이제 막 진입한 초보라면

ISBN이 뭔지, SKU가 뭔지....

조금의 영어장벽에도 와르르르....그만두고 싶어질텐데요 

그런 너님을 위해 영문용어를 정리해 보았어요.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Let's Go!

 

Amazon Marketplace

아마존 셀러들이 본인이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국가 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캐나다,멕시코,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일본,인도,중국이 있습니다.

이중 인도,중국은 아마존코리아에서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하네요~!

 

ASIN (Amazon Standard Item Number)

10자리로 구성된 아마존 자체 상품 식별번호로

상품 리스팅 시 셀러 고유의 상품 식별 번호인 SKU를 입력하여

제출하면 개별 SKU마다 ASIN이 새로 부여되거나 기존에

존재하는  ASIN이 매칭됩니다.

 

EAN (European Article Number)

미국 외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표준 상품 식별번호로

EAN은 12자리 혹은 13자리로 구성됩니다.

 

UPC (Universal Product Code)

북미에서 도서 이외의 모든 상품군에서 30년 이상 사용된 주요 상품 식별번호 바코드로

통상적으로 12자리이나, 정기 간행물의 경우 8자리로 구성됩니다.

 

ISBN

국제 표준 도서 번호로 10자리로 구성되며 발행된 개별 책마다 부여됩니다.

 

Product Detail Page (상품 상세 페이지)

아마존 상품 상세 페이지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셀러들이 입력, 제출한 정보를

종합하여 가장 최상의 결과물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셀러가 입력한 모든 정보가 아마존 상세 페이지에 반영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단, 판매와 관련된 셀러 고유의 정보인 가격, 재고 보유 여부, 

배송비는 셀러가 입력한 정보가 상세 페이지에 셀러 정보와 함께 표시됩니다.

 

Inventory (재고)

개별 셀러가 판매하는 모든 상품들. 또는 특정 상품(SKU)의 총 보유 수량을 말합니다.

 

SKU (Stock Keeping Unit)

상품 관리·재고 관리를 위한 최소 분류 단위로 셀러가 본인의 재고 관리를 위해 

자체적으로 부여한 고유번호입니다.

만약 기존에 아마존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셀러가 판매하려 할 경우

아마존은 셀러가 상품 리스팅 시 입력한 

이 SKU번호를 이용하여 적절한 상품 상세 페이지와 해당 SKU를 연동함.

 

Offer

이미 아마존에서 다른 셀러들이 판매하고 있는 상품을 본인도 판매하고자 할 경우, 

새로운 상품 상세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상품에 대한 

개별 오퍼를 리스팅해야 합니다. 

이 때 오퍼에는 판매 가격, 수량 및 상품 상태 

(새 상품, 중고, 또는 리퍼비시 상품) 정보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합니다.

 

Offer Listing Page (OLP)

오퍼 리스팅 페이지.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셀러의 오퍼를 보여주는 페이지로

상품 상세 페이지 또는 검색 결과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Buy Box

Add to Cart 버튼을 클릭하여 상품 구매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품 상세 페이지 내의 기능입니다.

아마존 웹 사이트가 기타 쇼핑몰과 차별화되는 점 중 하나는 

바로 동일한 상품을 여러명의 셀러가 동시에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이며, 

만약 바이 박스 획득 자격을 가진 한 명 이상의 셀러가 동시에 같은 상품을 판매할 경우

 이 셀러들은 바이박스를 획득하기 위해 경쟁을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고객에게 최상의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아마존은 셀러가 바이 박스 획득 자격을 

가지기 위한 최소한의 퍼포먼스 기준을 충족할 것을 요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바이박스 획득은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Buy Box Percentage

바이박스 획득비율로 셀러 본인이 바이박스를 획득 하고 있는 시점의 조회 수를 

상품 상세 페이지의 전체 조회 수로 나눈 값입니다. 

바이박스 획득비율은 다음과 같은 경우 때문에 보통 100% 이하의 값을 가짐:

1. 상품이 품절 상태일 때

2. 바이박스를 다른 셀러가 획득하고 있는 상태일 때

3. 셀러 본인이 바이 박스 획득 자격을 갖고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상품의 상태가 "중고"일 경우 바이 박스를 획득할 수 없으며 

이 때엔 "Other buying options" 페이지에 오퍼가 표시 됩니다.

 

Page Views

특정 기간 동안의 오퍼 조회 수로 한 명의 방문자가 특정 기간 동안 여러 번 

오퍼를 조회할 수 있으므로 페이지 뷰는 세션 수 보다 큽니다.

Child ASIN 페이지 뷰는 부모 ASIN 페이지 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검색이 아닌 카테고리 열람을 통해 방문한 경우는 페이지 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Sessions

24시간 동안 셀러의 상품 상세 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 수로

한 명의 방문자가 한 번에 여러 번 해당 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지 뷰는 항상 세션보다 큰 값을 가집니다.

검색이 아닌 카테고리 열람을 통해 방문한 경우는 세션 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Unit Session Percentage

지정된 기간 동안에 판매된 전체 상품 유닛 숫자를 전체 세션 숫자로 나눈 값으로

구매 전환율과 같습니다.

 

Variation

동일한 상품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요소(예를 들어 사이즈 혹은 색상)에 따라 다양한 

하위 옵션을 가질 경우 이를 Parent (상위상품)과 Child (하위상품)으로

연결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Variation Theme

Parent와 Child 상품이 어떤 관계인지 설명해 주는 테마로

예를 들어 색상, 사이즈, 색상/사이즈 등이 베리에이션 테마가 될 수 있습니다.

 

Seller Performance

아마존에 대한 고객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아마존은 셀러에게 기준치 이상의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셀러가 제공하는 고객 서비스 수준을 의미하는 셀러 퍼포먼스는

주문 결함 비율, 사전 주문 취소 비율, 

배송 지연 비율을 통해 측정됩니다.

 

Account Health

셀러 퍼포먼스 및 정책 위반 여부 등을 종합하여 현 셀러의 어카운트(계정)의 

전반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셀러로서 고객 만족을 위해 아마존에서 얼마나 잘 판매 및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Amazon Fulfillment Center (아마존 주문 처리 센터)

아마존의 물류 센터를 의미를합니다.

 

A-to-Z Guarantee Claim (A-to-Z 보증 클레임)

고객이 셀러로부터 구매한 상품을 아예 받지 못했거나 

주문한 상품과 완전히 다른 상품을 받았을 경우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보증 정책입니다.

 

Amazon Brand Registry (아마존 브랜드 등록)

본인이 직접 상품을 제조하거나 본인 

소유의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를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입니다.

브랜드 레지스트리를 이용해 브랜드 오너(소유자)임을 등록하고 나면 

아마존 내에 본인 소유의 브랜드 상품의 리스팅 및 관리를 위한 더 많은 권한을 얻게 됩니다.

또한 UPC나 EAN과 같은 표준 바코드 없이도 

Unique Identifier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품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단,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에 브랜드 오너로 등록하는 것이 해당 브랜드 상품을 본인만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음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Unique Identifier (for Amazon Brand Registry)

브랜드 레지스트리 등록 과정에서 필수로 지정해야 하는 상품 고유 식별번호로

 UPC 혹은 EAN이 없는 브랜드 상품을 리스팅하려 할 경우 브랜드 레지스트리 

등록 시 지정한 상품 고유 식별번호를 상품 리스팅 시 입력해야 합니다. 

상품 고유식별 번호로는 통상적으로 Manufacturer Part Number (제조사 파트 번호), 

Model Number (모델 번호), Catalog Number (카탈로그 번호), Style Number (스타일 번호) 

등이 사용됩니다. 

상품 고유식별 번호는 상품 패키지 혹은 셀러의 웹사이트, 

카탈로그에서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UPC 혹은 EAN이 있는 상품일 경우 UPC 혹은 EAN을 고유 식별번호로 사용 가능합니다.

 

 

한번에 쏘~옥, 정리됐을까용?